최근 비대면 니즈가 늘어남에 따라 줌 zoom이나 ms 팀즈와 같은 비대면 원격 화상회의 또는 온라인 수업 솔루션 사용량이 많아지고 있다. 보통 줌 zoom과 같은 플랫폼을 많이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기관이나 회사를 중심으로 협업툴 성격이 강한 ms 팀즈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와 호환성이 높아 ms365와 함께 사용하게 되는 경우도 많은 듯 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래와 같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팀즈(Teams)를 이용한 화상회의에서 필수적인 원격 회의 초대 보내기와 수락하기 방법을 아웃룩 outlook을 통한 방법을 기반으로 정리해보았다. MS 아웃룩에서 팀즈 미팅을 보내는 방법은 사실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듯..
QR코드란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이루어진 바코드를 의미한다. QR은 Quick Response의 약자인데 재미있게도 정식 명칭으로는 QR코드라고만 불리며 Quick Response 코드라고 불리진 않는다. 이제는 매우 qr코드는 익숙해졌는데, 코로나로 전자 출입 명부 뿐만 아니라 상점에 가면 할인 가격이나 할인 정보도 심지어 오프라인 책이나 잡지에서도 큐알코드를 자주 보게된다. 이렇게 큐알코드가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하고 있어서 어디서든 자주 보게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가 스마트폰으로 qr코드 리더기를 실행시킨 뒤 qr 코드를 연결하면 해당 사이트로 바로 접속되어 간편하게 확인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근데 PC에서는 어떻게 확인할까 찾아보다가 아래와 같이 pc 컴퓨터에서 qr코드 읽고 확인하는 방법..
윈도우10에서 시작의 검색 기능을 사용하면 언제부터인가 검색창 오른쪽에 인터넷 페이지가 나타나면서 광고가 나타났다. 크게 배너처럼 업무에 지대한 방해되는 것은 아니었지만 자꾸 나타나는 것이 무척 거슬려서 아래와 같이 윈도우10 검색에 나타나는 광고를 없애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생각보다 간단한 설정을 통해 끌 수 있었다. 1. "윈도우 키 + I"를 눌러 윈도우 설정을 실행한 다음 아래와 같이 자물쇠 모양으로 되어있는 "개인 정보"를 클릭하여 실행한다. #윈도우 설정은 시작 메뉴 왼쪽에서도 실행 가능하다. 2. 개인 정보 설정 창이 나타나면 일반 탭에 바로 맨 위에 나타나는 "앱에서 광고 ID를 사용하여 앱 활동을 기반으로 맞춤형 광고를 표시하도록 허용" 부분을 "끔"으로 설정한다. 3. 위의 방법대로 하..
카카오톡의 경우 사무실이나 집에서 PC를 사용할 때 설치하고 사용하면 매우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특히 문서나 자료 또는 사진을 공유하거나 공유받고 PC에 저장할 때 매우 간편하다. PC에 카카오톡 카톡 설치하는법은 아래와 같다 1. pc 브라우저를 통해 카카오톡 - kakao Talk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네이버 등을 통해 검색하거나 아래 카카오톡 공식홈페이지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https://www.kakaocorp.com/service/KakaoTalk?lang=ko 카카오톡 사람과 세상, 그 이상을 연결하는카카오톡 www.kakaocorp.com 2. 카카오톡 공식홈페이지 우측 상단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한다. 3. 다운로드 버튼 선택 시 PC버전과 모바일 버전 다운로드로 나뉘는데 ..
최근 언택트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원격 온라인수업과 비대면강의의 증가로 줌 zoom을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아지게 되었다. 그런데 주변에서 생각보다 zoom pc 버전 다운로드 방법을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아 줌 사용의 가장 첫 단계인 zoom pc 다운로드 및 사용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았다. 1. 네이버등의 검색엔진에서 줌을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공식 홈페이지가 뜬다. 혹은 아래와 같이 zoom을 무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한다. https://zoom.us 비디오 회의, 웹 회의, 웨비나, 화면 공유 Zoom은 모바일, 데스크톱 및 회의실 시스템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회의, 채팅 및 웨비나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여 첨단 엔터프라이즈 비디오 ..
윈도우10 Windows10의 Windows Defender 방화벽 실시간 보호 기능은 생각보다 매우 번거롭다. 악성 프로그램이 아닌데도 파일을 삭제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보통 다들 한번쯤 윈도우10에서 윈도우 디펜더 끄기를 설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특히 윈도우 디펜더의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인 "실시간 보호", "클라우드 전송 보호", "자동 샘플 전송"을 꺼보지만, Windows Defender의 "실시간 보호" 감시 기능은 끄더라도 재부팅만 하면 다시 켜진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디펜더 Windows Defender 방화벽의 "실시간 보호" 감시 기능을 영원히 완전히 끄는 off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1. 윈도우 + R 키를 누르고 "regedit" 을 아래와..
윈도우10 프로에서는 "최고의 성능"이라는 전원 관리 옵션이 있는데 윈도우 os의 컴퓨터의 성능을 항상 최대로 사용하게 하는 전원 관리 옵션이라고 보면 된다. 그런데 문제는 이 기능이 다른 윈도우10 버전에서는 숨겨져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통해서 추가를 해줘야 한다. > 1. 명령어 실행을 위해 우선 관리자 권한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검색에서 cmd을 입력하고 명령 프롬프트를 우클릭하여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면 된다. 물론 대신 PowerShell을 실행하여 진행해도 상관없다. 2. cmd 창이 나타나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최고의 성능을 활성화 한다. # 명령어 powercfg -duplicatescheme e9a42b02-d5df-448d-aa00-03f..
유무선 와이파이 공유기에서 관리자 페이지 접속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보통 nas 구매 후 설정을 하거나 (포트포워딩 등) wifi 비밀번호를 재설정하거나 펌웨어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인데, iptime 등 보통 관리자 페이지의 접속 주소는 192.168.0.1의 주소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지만 실은 제조사 별로 IP주소가 다르므로 접속이 되지 않는다면 접속 주소를 확인해 봐야 한다. 공유기의 종이나 전자 메뉴얼을 찾아보고 확인해 봐도 되지만 이미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해당 컴퓨터에서 바로 확인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아래와 같이 iptime 등 와이파이 wifi 공유기 접속 IP 주소를 찾고 관리자 admin 접속 방법을 정리해보았다. 공유기의 접속 주소는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면 된다. 유무..
윈도우 10 (Windows 10)에서 프로필 이미지를 변경하면 이상하게 이미지가 계속 추가로 만들어 진다. 문제는 윈도우 10 (Windows 10)에서 기존의 프로필 이미지 - 프로필 사진은 없애고 싶은데, 해당 창에서는 삭제가 안된다는 것이다. 이런 윈도우10 프로필 사진을 간단하게 삭제하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았다. 위처럼 현재(회색으로 처리한 부분)와 과거에 설정한 해바라기 이미지 2가지 프로필 사진 있는데, 여기서 현재 프로필 사진 - 회색으로 처리한 부분을 삭제해 보려고 한다. 우선 해당 윈도우10 프로필사진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가 어디인지를 찾아야 한다. 해당 파일은 보통 다음의 폴더에 있다.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Microsof..
홈택스의 각종 서류나 증명서, 공문서 등에 대해서 발급받아서 프린트를 하고 다시 팩스로 보내달라고 요청 받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프린트나 팩스가 집마다 있는 것도 아니고 매우 번거로운 경우가 많다. 가장 쉬운 방법은 pdf 등으로 출력해서 이메일로 보내거나 하는 방법인데 기본 pdf로 출력하는 방법은 막혀 있어 아래와 같이 해결 방법을 찾아보았다. 해결방법은 간단한데, 프린터의 스풀링하는 "스풀 파일"을 이용해서 뷰어로 열고 이를 PDF로 인쇄하는 방법이다. 프린터 스풀뷰어인 spl viewer를 사용한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프린터 스풀 뷰어 - SPLViewer 다운로드, 실행 일단 이 스풀파일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아래와 같이 SPL Viewer 라는 무료 프로그램을 다운..
시놀로지 Synology 나스는 네트워크 하드디스크의 OS라고 할 수 있는 DSM(Disk Station Manager)이 참 잘 구축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그런데 한가지 문제를 뽑아보자면, 기존에 외장하드나 컴퓨터 내에 있는 파일들을 업로드하려고 하면 "폴더 백업이나 폴더 업로드"가 안된다. 더불어 시놀로지에서 제공하는 파일스테이션(File Station)이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는데 이게 파일은 업로드가 되는데 도통 폴더를 업로드 하는 방법이 없다. (고로 가지고 있는 데이터들 백업 자체가 매우 어렵다.) 다른 블로그를 찾아보니 우회해서 윈도우 네트워크 폴더도 만드는 방법도 있는데... 보안도 문제지만 무엇보다도 폴더 백업할 파일이 많아지면 이상하게 폴더가 전송되다가 끊겨서 무용지물이..